연구 정보
KNN 연구 요약서
Title |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incomplete antenatal corticosteroid exposure |
---|---|
Author | 곽아브라함, 김채영 |
작성자 | 김채영 |
Background | 미숙아는 신생아 사망 및 중증 이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주수가 어릴수록 호흡곤란증후군, 뇌실내출혈, 괴사성 장염, 만성 폐질환 등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한다. 이러한 미숙아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해 산전 스테로이드(antenatal corticosteroids, ACS)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중재 중 하나로, 태아의 폐 성숙을 촉진하고 생존율을 높이며 주요 합병증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 입증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급속 분만 등으로 인해 스테로이드를 2회 모두 투여하거나 24시간 이상 경과하지 못한 채 출산되는 '불완전 노출군'이 상당수 존재하며, 이들에 대한 장기적인 예후는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최근 후향적 연구들은 단 1회의 스테로이드 투여 혹은 24시간 미만의 단기 노출만으로도 생존과 일부 단기 이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완전한 노출이 신경 발달, 인지 기능, 폐 성장 및 폐동맥고혈압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장기 추적 연구는 드물며,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생체중 1500g 미만으로 출생한 극소저체중출생아 중 산전 스테로이드에 불완전하게 노출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만 3세까지의 신경학적 발달을 추적 관찰하고, 완전 노출군 및 미노출군과의 비교를 통해 불완전 노출의 장기적 유익성과 한계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
Aim / Hypothesis | 본 연구는 KNN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전 스테로이드에 불완전하게 노출된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이환율과 장기적인 신경 발달 예후를 확인하고, 완전 노출군 및 미노출군과 비교하여 불완전 노출의 의학적 유익성과 잠재적 한계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
Inclusion Criteria |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출생하여 KNN에 등록된 출생체중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출생아 |
Exclusion Criteria | 심각한 선천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1. 주산기 요인(Gestational age, birthweight, chorioamnionitis, preeclampsia, antenatal steroid, delivery mode, A/S등)과 신생아질환(RDS, PDA, NEC, BPD, PPHN, IVH/PVL, ROP, Sepsis 등) 교정 18~24개월과33~39개월 경의 신체계측(체중, 키, 머리둘레) 및 신경학적 발달 결과(Bayley III)를Chi-square test(범주형 변수), t-test test(연속 변수)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합니다. Propensity score matching 을 통한logistic multivariate analysis로 집단간의 장기적 예후에 대한 유의한 의미를 찾고, 사망률에 있어서는 Kaplan-Meier 곡선 또는 Cox 비례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생존 분석을 합니다. |
Primary Outcomes | 1. 완전/불완전 스테로이드 투여에 따른 신생아 이환율과 사망률 비교 2. 두 집단의 교정 18~24개월과33~39개월 경의 신체 발달(체중, 키, 머리둘레) 및 신경학적 발달 (Bayley 혹은 K-DST)의 비교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Extremely preterm (<28 weeks), Very preterm (28~31 weeks), moderate to late preterm (32~34 weeks)의 재태연령에 따른 예후 |
Protocols | Study design과 동일 |
Funding | 해당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