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정보
KNN 연구 요약서
Title |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Education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
Author | 김한나, 안소윤 |
작성자 | 안소윤 |
Background | 최근 미숙아의 생존율이 향상됨에 따라 생존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신경발달 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숙아의 장기적인 발달에는 의학적 요인 뿐만 아니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요인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부모의 교육 수준은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아버지의 교육 수준과 미숙아의 발달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부의 교육 정도와 미숙아의 발달 지연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적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부성 교육 수준이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작용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
Aim / Hypothesis | 아버지의 교육 수준과 18-24개월 교정연령 시점의 신경발달 결과 간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아버지의 교육 수준이 낮은 경우, 미숙아의 신경발달 지연 위험이 높을 것이다. 이는 재태주수와 출생체중, 그 외 주요 임상적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독립적인 예측 요인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
Inclusion Criteria | 출생체중 1,500g 미만 혹은 재태주수 32주 미만의 미숙아 |
Exclusion Criteria | 심각한 선천성 기형을 동반한 경우 신경발달 평가 결과가 없는 경우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아버지의 최종 학력에 따라 군(대학원졸/대졸/고졸이하)을 분류하고, 교정연령 18–24개월 시점의 Bayley 등 발달검사 결과를 조사하여 prospective cohort study로 진행한다. 통계 분석은 그룹 간 비교를 위해 Student t-test / Chi-square test, 주요 결과 변수(NDI)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하며, R 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
Primary Outcomes | 교정 18-24개월까지의 성장 및 발달 평가 BSID-II (MDI <70, PDI<70), BSID-III (cognitive score <70, language score <70, motor score <70), K-DST (대근육, 소근육, 인지, 언어, 자조영역에서 ‘추적검사요망’ 평가) 혹은 GMFCS ≥ 2 including diplegia, hemiplegia, quadriplegia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Blindness, Hearing loss, NEC, BPD 등 신생아의 Major outcome 과 재입원율을 함께 비교한다. |
Protocols | 없음 |
Funding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