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Research

연구 정보

Research Project (승인과제목록)

KNN 연구 요약서

Title The timing of onset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 Comparative Study of SGA vs Non-SGA Infants in Korea
Author 정지은, 김이경
작성자 김이경
Background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NEC)은 미숙아 및 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응급 질환 중 하나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생존하더라도 단장 증후군, 성장 부전, 신경 발달 지연 등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해 괴사성 장염 발병 시점은 재태주수와 역의 관계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오히려 출생 후 더 늦은 시기에 발병하는 경향)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자궁 내 성장 제한을 겪은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는 적정체중아(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에 비해 괴사성 장염의 발생 위험이 높고, 발병 시점 또한 다르다는 보고가 있다.
Aim / Hypothesis 국내 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Modified Bell's criteria stage 2 이상의 괴사성장염 진단된 환아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재태주수 또는 SGA 여부에 따라 괴사성장염의 발병 시점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국내 미숙아의 괴사성 장염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clusion Criteria 2015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총 10년) KNN 참여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g 미만의 저체중출생아 중 괴사성 장염 (modified Bell’s criteria ≥ stage 2) 로 진단된 환아
Exclusion Criteria (1) 주요 선천성 기형 (congenital anomaly)이 있는 환아 (2) 의무기록이 불충분하여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환아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1. 군분류: 괴사성 장염 진단된 VLBWI 중 SGA와 non-SGA로 분류 (재태주수와 성별에 따른 Fenton 성장 곡선을 기준으로 출생 체중이 10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SGA, 10-90백분위수인 경우 AGA, 90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LGA 로 정의) 2. 통계분석: 1) 재태 주수에 따라 유병률의 차이 및 발병시점 차이를 분석 ① 유병률은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비교 ② 재태주수와 괴사성 장염 발병시점 간의 상관관계는Kruskal-Wallis을 사용하여 분석 2) 괴사성 장염 발생과 관련된 인자 분석 ① 단변량 분석: 주산기 인자 (재태주수, 출생체중, 성별,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여부 등), 출생 후 인자 (RDS, 기관지폐이형성증, 패혈증 등) ② 다변량 분석: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인자들을 포함해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시행하여 위험인자를 분석 3) SGA 그룹과 non-SGA 그룹의 각 특성을 분석 (단변량분석, 다변량분석) ② 그룹 간의 NEC 발병 시점 비교는 Independent t-test 또는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여 비교
Primary Outcomes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된 출생 체중 1.5kg 미만 환아에서 SGA 그룹과 non-SGA 그룹 간의 괴사성 장염의 발병 시점 (발생 postnatal age, 발생 postmenstrual age), 발병률, outcome (생존율, 수술 여부)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출생 체중 1.5kg 미만 환아에서 괴사성 장염의 발생률과 재태 주수별 괴사성장염 발생 시점 간의 상관 관계
Protocols Study design and statistical methods 참조
Funding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