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Research

연구 정보

Research Project (승인과제목록)

KNN 연구 요약서

Title 경도의 뇌실내출혈(IVH)를 가진 조산아의 신경발달 결과 및 변화 요인 분석: 한국신생아네트워크(KNN) 기반 전국 코호트 연구
Author Yunhye Oh, Hyunho Kim, Jinkyu Kim
작성자 김진규
Background 32주 미만의 조산아는 생존율은 향상되었지만, 장기적인 신경발달 결과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임. 특히 초미숙아에서 경도의 뇌실내출혈(IVH)은 흔한 뇌 병변이지만, 장기적인 예후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국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이 부족한 실정임. 또한, 경도의 IVH 환자에서 24개월과 36개월 사이의 발달 결과 변화 양상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도 제한적임.
Aim / Hypothesis 경도의 뇌실내출혈 환자에서 24개월에서 36개월 사이 신경발달 상태 변화 양상(호전/유지/악화) 분류 -발달 결과 변화와 관련된 예측 인자(임상적, 치료적 요인 등) 규명 -뇌 병변(IVH, PVL) 유무 및 중증도에 따른 36개월 신경발달 결과 비교 -경도 IVH (Grade I–II) 조산아일지라도 신경발달 지연 위험이 높다. 하지만 f/u하면 24개월 36개월로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정도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언어 부분에 대한 회복) -24개월에서 36개월 사이 신경발달 결과가 변화하는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과 비교하여 출생 시 임상 상태 및 치료 이력이 다를 것이다.
Inclusion Criteria 한국신생아네트워크(KNN)에 등록된 32주 미만 출생아 전체,
Exclusion Criteria -주요 선천성 기형을 가진 환아 (예: 심각한 뇌기형, 염색체 이상) -신경발달 평가 결과가 전혀 없는 환아 (24개월 및 36개월 모두 평가 미수행)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노출군 분류: 1. 경도 IVH(Grade 1-2) 2. 중증 IVH(Grade 3-4) or cystic PVL 기초 통계: 기술 통계, 그룹 간 비교 (Chi-square, t-test, ANOVA) -주요 분석: 36개월 ND 결과 예측: 로지스틱 회귀분석 24M→36M 발달 결과 변화군 예측: 다항 로지스틱 회귀 -다변량 분석에서 재태주수, 출생체중, BPD, NEC, ROP, 패혈증, 치료 개입 여부 등을 공변량으로 조정
Primary Outcomes 36개월 corrected age 기준 신경발달 지연 여부(세부항목별 세분화) Bayley II/III 평가 점수가 발달 지연 기준 이하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24개월 → 36개월 신경발달 변화 양상 분류: 유지군: 동일한 ND 상태 유지 (정상-정상 또는 지연-지연). 호전군: 지연 → 정상 악화군: 정상 → 지연. 신경발달 변화와 관련된 요인 분석 (출생 특성, 치료 중재, 재입원 등)
Protocols 연구 데이터 요청. 데이터 정제 및 분석 코드 설계. 통계 분석 수행 (R, SPSS 사용 예정). 주요 분석 및 민감도 분석 결과 도출 후 논문 작성 및 학술지 투고
Funding 현재 본 연구는 별도의 외부 연구비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수행될 예정임 (※ 추후 필요 시 병원 내부 연구비 또는 학회 공모 연구비 신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