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정보
KNN 연구 요약서
Title | Practices and outcomes of preterm infants born at less than 32 weeks or 1,500 g after quality improvement program for targeting normothermia upon admission |
---|---|
Author | 이병국 |
작성자 | 이병국 |
Background | 극소 미숙아는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여 저체온증(hypothermia)에 더 취약하며, 체온 유지 실패는 생존율 저하 및 다양한 합병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출생 직후 초기 분만실의 낮은 온도 환경, 미숙아의 낮은 피하지방, 젖은 피부, 호흡 순환기의 미숙, 갑상선등 호르몬 조절 기능 저하등은 출생 초기의 체온 유지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초기 입원 시 저체온이 미숙아의 사망률을 증가시킬수 있다. 이에 KNN에서는 분만 후 입실 시 저체온을 줄이기 위한 의료 질 향상 활동을 2022년부터 일부 병원에서 시작하여 현재 시행 중이다 |
Aim / Hypothesis | 입실 시 체온향상을 위한 의료 질 향상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참여 병원의 전후 비교 참여병원과 비참여 병원의 비교 를 하여 질향상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Inclusion Criteria | KNN 참여병원에서 2021년 1월 이후 출생하여 등록된 신생아 |
Exclusion Criteria | 분만장에서 사망한 경우 심각한 선천기형을 동반한 경우 입실 후 첫 1시간 내 체온을 측정하지 못한 경우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전체 KNN 병원을 QI 참여병원과 QI 미참여병원으로 나누어 primary/secondary outcome을 분석한다. 2023.7~2024.12 참여병원 : 9개 비참여병원 : KNN 참여병원 중 나머지 QI 참여병원을 참여 전 1년과 참여 후 1년으로 구별하여 primary/secondary outcome을 분석한다. - chi-square test: 범주형 자료, Student’s t-test or Mann-Whitney U test: 연속형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요청자료는 단기 항목 중 산모 및 부성 정보 신체 계측 입실시 체온, 호흡기 심혈관계 환련 정보 중추신경계, 관련 정보, 소화기계 관련 정보, 퇴원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
Primary Outcomes | 입실 시 체온, 경증 및 중등도 저체온증의 발생률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뇌출혈, 폐출혈 RDS, BPD, PPHN 7 days mortality, Mortality at PMA 36wks Mortality before discharge Hypoglycemia, Hypotension within 24 hours after birth etc. |
Protocols | |
Funding | 해당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