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Research

연구 정보

Research Project (승인과제목록)

KNN 연구 요약서

Title 초미숙아에서 패혈증 및 괴사성장염 발생 시기와 두위 성장 및 신경학적 발달의 관계
Author 류재휘, 신승한, 김이경, 김한석
작성자 신승한
Background 최근 국내 초극소미숙아의 생존률이 향상되면서 해당 환자들의 장기 신경학적 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8주 미만의 초미숙아에서 신생아중환자실 재원 기간동안 패혈증이 22.3%, 병기 2 이상의 심한 괴사성 장염이 8.9%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초미숙아에서의 패혈증 및 괴사성 장염이 장기 신경학적 예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보고가 있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만삭 나이에 시행한 뇌 자기공명 영상에서 백질 이상이 동반되는 비율이 높으며, 교정 2세 경에 측정한 두위의 z score가 낮다는 보고가 발표되어 있는데, 패혈증 또는 괴사성 장염 발생 시 전신 염증반응의 증가 및 전신 순환 부전으로 인한 뇌혈류 장애가 미성숙한 뇌의 백질 이상을 초래하거나 두위 성장을 저해하여 불량한 장기 신경학적 예후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뇌의 발달 과정에서 재태주수 18주 경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분화를 시작하고 28주 경까지 전체 희소돌기아교세포군의 90%가량이 형성되며 이후에는 주로 세포의 증식이 일어나게 되는 점을 고려하면, 신경세포군의 형성이 일어나는 시기인 이른 월경후 연령 시점에 손상이 발생할수록 불량한 예후를 보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실제로 한 단일기관 연구에 따르면 28주 미만의 초미숙아의 경우 패혈증 발생 시의 월경 후 연령이 어릴수록 중등도 이상의 백질 이상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이와 유사하게 초미숙아에서 패혈증 또는 괴사성장염 발생 시기(월경 후 연령)가 이를수록 불량한 두위 성장 및 신경발달 예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im / Hypothesis 초미숙아에서 패혈증 또는 괴사성장염 발생 시기(월경 후 연령)가 이를수록 불량한 두위 성장 및 신경발달 예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초미숙아에서 패혈증 또는 괴사성장염 발생 시기(월경 후 연령)가 이를수록 불량한 두위 성장 및 신경발달 예후를 보일 것이다.
Inclusion Criteria KNN에 등록된 출생체중 32주 미만 출생아로 2013.1.1부터 2020.12.31까지 출생한 환아
Exclusion Criteria 퇴원 전 사망한 환아, 주요 선천성 기형아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1. 대조군 및 실험군의 분류 - 대조군 : 패혈증 및 괴사성장염이 없었던 군 (A) - 실험군 1) 패혈증이 있었던 환자군 (B) 2) 괴사성 장염이 있었던(내과적 치료) 환자군 (C) 3) 괴사성 장염이 있었던(외과적 치료) 환자군 (D) 4) 패혈증과 괴사성 장염이 모두 있었던 환자군 (E) 2. 통계 분석 1) 단변량 분석 - 대조군(A)과 실험군(B~E)의 demographic finding 비교 (T-test, Exact) - 다섯군 간(의 demographic finding 비교 (Ranksum, ANOVA) - 대조군(A)과 실험군(B~E)의 primary & secondary outcome 비교 (T-test, Exact) - 다섯 군 간의 primary & secondary outcome 비교 (ANOVA, Ranksum) 2) 각 군(B~E)별로 에피소드의 시점 별 primary & secondary outcome 분석 - 에피소드 발생 시점(PMA 혹은 PND)과 두위성장 변화량(change in z-score), 24개월 베일리 검사 점수, 발달 이상과의 상관성 분석 - 층화 분석; ① 28주 미만 출생아에서는 28주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발생 시점을 범주화하여 첫 발생 에피소드 기준 두 시점(period) 간 outcome을 비교 ② 28주 이상 32주 미만 출생아에서는 32주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발생 시점을 범주화하여 두 시점(period) 간 outcome을 비교 3) 다변량 분석 - 출생 주수, 출생 체중, 기관지폐이형성증 중등도, 뇌실 내 출혈, 뇌백질연화증 등을 여부 등을 보정 - 발생시기(층화, 28주 혹은 32주 기준으로 이전/이후로 분류)에 발달 이상과의 연관성 분석
Primary Outcomes 두위 성장 및 신경발달 예후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Protocols 1. 대조군 및 실험군의 분류 - 대조군 : 패혈증 및 괴사성장염이 없었던 군 (A) - 실험군 1) 패혈증이 있었던 환자군 (B) 2) 괴사성 장염이 있었던(내과적 치료) 환자군 (C) 3) 괴사성 장염이 있었던(외과적 치료) 환자군 (D) 4) 패혈증과 괴사성 장염이 모두 있었던 환자군 (E) 2. 통계 분석 1) 단변량 분석 - 대조군(A)과 실험군(B~E)의 demographic finding 비교 (T-test, Exact) - 다섯군 간(의 demographic finding 비교 (Ranksum, ANOVA) - 대조군(A)과 실험군(B~E)의 primary & secondary outcome 비교 (T-test, Exact) - 다섯 군 간의 primary & secondary outcome 비교 (ANOVA, Ranksum) 2) 각 군(B~E)별로 에피소드의 시점 별 primary & secondary outcome 분석 - 에피소드 발생 시점(PMA 혹은 PND)과 두위성장 변화량(change in z-score), 24개월 베일리 검사 점수, 발달 이상과의 상관성 분석 - 층화 분석; ① 28주 미만 출생아에서는 28주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발생 시점을 범주화하여 첫 발생 에피소드 기준 두 시점(period) 간 outcome을 비교 ② 28주 이상 32주 미만 출생아에서는 32주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발생 시점을 범주화하여 두 시점(period) 간 outcome을 비교 3) 다변량 분석 - 출생 주수, 출생 체중, 기관지폐이형성증 중등도, 뇌실 내 출혈, 뇌백질연화증 등을 여부 등을 보정 - 발생시기(층화, 28주 혹은 32주 기준으로 이전/이후로 분류)에 발달 이상과의 연관성 분석
Funding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