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정보
Research Project (승인과제목록)
KNN 연구 요약서
| Title | Perinatal asphyxia and timing of patent ductus arteriosus treatment in VLBW infants |
|---|---|
| Author | 최의경 |
| 작성자 | 최의경 |
| Background | 동맥관 개존증(PDA)은 미숙아의 중요 기관으로의 혈류에 영향을 미치며 증상이 있는 PDA의 존재는 IVH와 괴사성 장염과 같은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 특히 출생 초기 가사가 있는 경우 동맥관의 자연적인 폐쇄가 지연될 수 있으나 치료약물의 부작용등에 대한 우려로 기관마다, 의사마다 다른 결정을 하게 된다. 현재까지 가사가 있는 초극소미숙아에서 동맥관치료 전략 및 그 여부에 따른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
| Aim / Hypothesis | 이 연구의 목적은 극소저체중미숙아의 주된 합병증에 대한 주산기 가사 및 PDA 치료의 영향를 조사하는 것이다 |
| Inclusion Criteria |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1,500g |
| Exclusion Criteria | 심각한 선천성 기형 (Congenital anomaly)을 진단받은 미숙아 아프가 점수나 출생후 혈액가스분석정보가 없는 경우 |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1. 출생시 산증이 있던 군 (참고: 정상 혈액가스분석 pH>7.20)을 정도에 따라 군을 나누어 (mild, moderate, severe) 아이의 동맥관개존증 치료의 전략/시기에 따른 임상경과를 확인한다. 2. Statistical methods: 1.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2. Student’s t-test or Mann-Whitney U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3. Multivariate logistic or linear regression model |
| Primary Outcomes | 가사의 정도에 따른 PDA치료여부 및 사망률, 합병증 차이 |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가사의 정도에 따른 동맥관개존증의 치료 시기, 치료의 종류 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빈도 |
| Protocols | retrospective cohort study |
| Funding | no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