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정보
Research Project (승인과제목록)
KNN 연구 요약서
| Title |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신생아경련의 위험인자 및 예후 |
|---|---|
| Author | Lee Jin A, Sohn Jin A, Sohee Oh |
| 작성자 | 이진아 |
| Background |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항경련제 투여를 요하는 신생아 경련은 KNN 연차보고서에 의하면 연간 약 10%에 달할 정도로 비교적 흔하나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경련의 위험인자 및 장단기 예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
| Aim / Hypothesis |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약물치료가 필요했던 신생아 경련의 일반적 특성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 신생아 경련의 유무가 단기 및 장기 신경발달학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또한, 재태주령 등에 따른 sub-group analysis도 시행하여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1.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신생아 경련의 빈도는 출생체중, 재태주령, 성별 및 관련인자(뇌출혈, 주산기가사 또는 산증, 패혈증, 선천성 기형)에 따라 다를 것이다. 2.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신생아 경련이 단기 및 장기 임상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재태주령 및 출생체중별로 신생아 경련의 빈도 및 예후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
| Inclusion Criteria | 2013~2017년 출생한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출생아 |
| Exclusion Criteria | 없음 |
| Study Design Statistical methods | Prospective cohort study chi-square test: 범주형 자료 Student t-test or Mann Whitney U test: 연속형 자료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tion analysis: 신생아 경련의 위험인자 분석 신생아 경련과 사망률 및 장기 outcome 연관성에 대한 재태주령 등의 confounding factor를 보정한 multivariate analysis (필요시 matching) 이후 재태주령 또는 출생체중 그룹별 subgroup analysis |
| Primary Outcomes | 사망률 (단기 및 장기) 18-24개월과 만 3세 때 장기 outcome (CP, developmental delay, 시력 상실 및 청력 장애) |
| Secondary Outcomes and Definitions | Secondary outcome 1. Composite outcome (mortality, moderate to severe BPD, PVL, ROP), moderate to severe BPD, PVL, ROP, hospital day 등 단기 미숙아 임상결과 2.장기 (18-24개월과 만3세) 항경련제 사용, body physics, 경관 및 호흡보조, 재활 및 언어치료, 뇌MRI/CT 결과, 퇴원 후 재입원율, GMFCS score Definitions Developmental delay: 다음 중 한가지라도 속할 경우 1) 베일리-II 검사 상 MDI <85 또는 PDI<85 2) 베일리-III 검사 상 motor, language, cognitive <85 3) K-DST 상 심화평가 권고 또는 추적검사 요망 |
| Protocols | 1. 신생아 경련의 general characteristics 분석 (1) 재태주령별, 출생체중 별, 출생연도별 신생아 경련의 빈도 분석 (2) 신생아 경련 환아에서 선천성 기형 환아의 비율(중추신경계 기형 관련도 따로 분석), IVH, PVL, post-hemorrhagic hydrocephalus의 동반비율 (3) 선천성 기형 유무를 구분하여 신생아 경련 환자의 general characteristics 2. 선천성 기형을 제외한 VLBW 환아에서 신생아 경련과 관련된 산전 및 출생 전후 인자 분석 재태주령, 출생체중, CS, multiple pregnancy, IVF, 산모의 병력 (PIH, DM, olighydramnios, HCA 등), Inborn, 1분 및 5분 아프가점수, antenatal corticosteroid use, delivery room resuscitation, cord pH, BE, surfactant use, Sepsis (early, late), meningitis, IVH, NEC, PDA with treatment, 저혈압, operation (PDA ligation, GI surgery) 3. 선천성 기형을 제외한 VLBW 환아에서 신생아 경련 유무에 따른 단기 임상결과 차이 분석 사망률, composite outcome, post-hemorrhagic hydrocephalus, moderate to severe BPD, ROP with treatment(op or anti-VEGF), PVL, hospital day, duration of respiratory care, days to full feeding, 청력선별검사. discharge with respiratory support, 위관영양 4. 선천성 기형을 제외한 VLBW 환아에서 신생아 경련 유무에 따른 장기 임상결과 차이 분석 (1) FU1 체중, 신장, 두위가 10퍼센타일 미만인 경우, 산소/인공호흡기 치료, 기관절개, 보조적 경관영양, 뇌실복강 단락술, 항경련제 사용, 재활치료, 언어치료, 퇴원 후 재입원율, 뇌MRI/CT 결과, 시력상실, 청력장애, 뇌성마비, 베일리 검사, K-DST, GMFCS score (2) FU2 체중, 신장, 두위가 10퍼센타일 미만인 경우, 산소/인공호흡기 치료, 기관절개, 보조적 경관영양, 뇌실복강 단락술, 항경련제 사용, 재활치료, 언어치료, 퇴원 후 재입원율, 뇌MRI/CT 결과, 시력상실, 청력장애, 청각보조장치 사용, 뇌성마비, 베일리 검사, K-DST, GMFCS score 5. 재태주령 또는 출생체중별로 subgroup analysis |
| Funding | 없음 |